home          about          works 




[notes on films]  


She has continued her research on temporality through short films including <The Way We Wait>(2020) and <Once Upon a Time>(2020). Impermanence, transience and uncertainty have been fundamental elements of her works. Her films were rooted in a certain compulsion related to time, and the filmmaking was a serial process to overcome the finitude of our time. Through <Like You Know It All>(2021), she also attempted to depict the unfathomable vastness of human mind. Her ultimate aim is to create work that precisely captures the complicated emotions. She is currently developing a feature documentary <Not Yet Arrived>, and occasionally works both as a film programmer, a pre-selector and a researcher.




<The Way We Wait>(2020) conveys consciousness towards time, the moments when we confront the finiteness of time and life. Even though the whole film reveals impermanence and transience, it was not portrayed nihilistically. Rather, it emphasises that this finiteness allows us to understand the most trivial parts of our daily lives to be special.  <Once Upon a Time>(2020) was the work showing that the memories of the past could be reinterpreted, thereby it is impossible to reduce one’s life in a single perspective with one and only interpretation. Here, I tried to convey a sense of freedom and resilience by tactilely presenting the whole transforming process of the perspective about memory. <Like You Know It All>(2021) deals with the issue of suicide in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focusing on how to change our attitude towards the problems of the others. Carving deeply the fact that it is never easy to present hope or solutions, this work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o change while maintaining respect for each one’s undefinable parts, the spots that are not able to be known, that ambiguity and distance.

<The Way We Wait> - The film intersects different types of footages, including her grandmother’s house that would soon disappear, her hospital, and the process of building a sandcastle that is not even likely to barely survive from the waves of the ocean. This whole process seems to be a desperate attempt to delay the moment of sadness in the near future as much as possible. It is a film about the coming loss, but at the same time, about hope as well. Losses are always with us even in this moment, but here, by properly looking and documenting the process, I wanted to share that life is not in such an emptiness as we think it is. It was an intent to connect the far future and the distant past, overcoming the current context of loss or uncertainty by leaning on that vastness of time.

<Once Upon a Time> - 
This film depicts a moment when we are unexpectedly overwhelmed by our past memories. Simultaneously, it depicts how to get out of it, and explores how documentations could function as a mean to self-heal. There surely is a time when what I have documented in the past is read in a different way and approaches as a novel meaning to the “Me in the present”. Through interpreting the same experience in a different way with a time-parallax, I wanted to show the possibility that as meaning and context are unfixed, we can also change in a better version and at the same time be freer. As different to its title, this film is not only the story about the past. It is also the story about the future.

<Like You Know It All> - 
This film neither merely shows the seriousness of the suicide rate in Korea nor suggests a hasty solution. It rather focuses on how our society should carefully approach with regards to suicide issues. There are no human faces in the film, but instead, there are certain places and movements where we get to imagine the stories of the anonymous people. It was an attempt to capture the immeasurable, the vast terrain of the human mind. It is true that we would never fully get to know the other’s mind, but it was a process of exploration to find out what it is to continuously try to understand and imagine that unfathomable depth of mind. Through serial attempts to make what is invisible to be visible, I was able to genuinely consider the ethics of documentaries altogether. 

Oct. 2021, Ji-Yoon Park

[작품노트]


<우리가 기다리는 동안에>(2020)<아주 오래전에>(2020)를 포함한 여러 단편영화 작업을 통해 시간성에 대한 탐구를 지속해왔으며, 덧없음과 일시성 그리고 불확실함이 작품을 구성하는 본질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해왔다. 시간에 대한 어떤 강박으로부터 시작된 작업들이었으며, 유한함을 극복하려는 과정이기도 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2021)에서는 인간 마음의 헤아릴 수 없는 광활함을 담아내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복합적인 감정을 가장 정확하게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앞으로 스크린을 넘어 설치로도 작업을 확장시키려 한다. 현재는 단편 리서치 필름 <제자리에 있지 않은>(2022)을 기반으로 장편 다큐멘터리 필름 <아직 도래하지 않은>을 기획개발 중이며, 때때로 영화제 프로그래머와 예심위원, 리서처 등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우리가 기다리는 동안에〉(2020)는 시간에 대한 자각, 즉 시간의 유한함을 맞닥뜨리는 순간들을 보여준다. 덧없음과 일시성을 영화 전면에 드러내지만 이를 허무적으로 그리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 유한함으로 인해 일상의 사소한 부분까지 특별하게 바라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아주 오래전에〉(2020)는 과거의 기억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할 수 있음을, 따라서 각자의 삶은 한 가지 해석으로 환원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작업이었다. 기억에 대한 관점이 바뀌는 과정을 촉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어떤 해방감과 회복성을 전달하려 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2021)는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를 다루지만, 타인의 문제에 대한 우리의 태도를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방점을 찍고 있다. 희망이나 해결책을 손쉽게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인간 각자가 지닌 정의할 수 없는 부분, 다 알 수 없는 지점, 그 모호함과 거리에 대한 존중을 유지하며 천천히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려 한 작업이다.

<우리가 기다리는 동안에> - 영화는 곧 사라질 할머니의 집, 할머니가 지내던 병원, 그리고 파도로 인해 무너질 것 같은 모래성이 가까스로 지어지는 과정 등 다른 종류의 푸티지들을 교차시켜 보여준다. 이 모든 과정은 곧 있을 슬픔의 순간을 늦추려는 절박한 시도처럼 보인다. 다가오는 상실에 대한 영화인 동시에 희망에 대한 영화이다. 상실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하지만, 그 과정을 제대로 바라보고 기록함으로써 삶이 그렇게 허무하지만은 않음을 공유하고 싶었다. 아주 먼 미래와 먼 과거를 연결하며, 그 커다란 시간에 기대어 현재의 상실감이나 불확실함을 극복하려는 의도였다.

<아주 오래전에> - 영화는 예상치 못하게 과거의 기억들에 압도되는 순간을 그린다. 동시에 거기서 어떻게 빠져나오는지를 그리며, 기록이 어떻게 자기 치유의 기능을 하는지를 탐구한다. 내가 과거에 기록했던 것이 현재의 나에게 다른 방식으로 읽히고 새로운 의미로 다가올 때가 있다. 같은 경험을 시차를 두고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의미와 맥락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하기에 우리는 더 나은 방향으로 변할 수 있고 동시에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제목과 달리, 이 영화는 과거에 대한 이야기만이 아니다.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잘알지도 못하면서> - 영화는 단순히 한국 자살률의 심각성을 보여주거나 섣부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 사회가 자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화에는 사람의 얼굴이 등장하지 않고, 대신 익명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상상할 수 있는 장소들과 움직임이 나온다. 인간 마음의 헤아릴 수 없는 광활한 지형을 담아내고자 하는 시도였다. 타인의 마음은 결코 다 알 수 없겠지만, 그 알 수 없는 깊이를 상상하며 이해하려고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과정이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이게 하려는 시도를 통해, 다큐멘터리의 윤리성을 전면적으로 고민할 수 있었다.

2021년 10월, 박지윤 


 © Ji-Yoon Park. all rights reserved